요가란 무엇인가.
'요가(yoga)'라는 말은 인도 고대어의 일종인 범어로서 그 어원에는 ‘말을 마차에
결합시키다’ 또는 ‘말에 멍에를 씌우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것이 명사로 사용될 때는 일반적으로 ‘결합’ 또는 ‘억제’의
뜻이 된다. 한자로는 발음대로 표기할 때 유가(揄伽)라고 하고, 뜻으로 번역할 때는 상응(相應)이라고 한다.
요가라는 말이 명상을
의미하는 술어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기원 전 500-300 년경에 이루어진 <우파니샤드>하는 인도의 고대 문헌에서부터이다. 이
책에서는 마차를 인간의 육체에, 말을 인간의 마음에, 그리고 타고있는 사람을 영혼에 비유하여서, 말을 잘 통제하여 바른 길로 갈 수 있게하는
것이 바로 요가라고 했다. 이 비유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요가라는 의미는 심신을 조절하여 진정한 자아를 자유롭게 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고대 인도에서의 요가는 육체나 감각기관을 억제하고 마음을 한 곳에 집중하는 명상적인 수행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의 요가는 'meditation' 또는 'contemplation'과 같이 '심사숙고한다'는 서구적인 명상과는 다르다. 오히려
이러한 사유 작용을 억제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인도 심리학에서처럼 일상적인 의식 작용이 억제될 때 지혜가 나오고 진정한 자아가 자유롭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요가는 ‘마음작용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요가의 기원은 고대 유물을 통해서 추정해 볼
때, 기원전 2천 년에서 3천 년경에 일어난 인도 고대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문헌으로 요가의 수행법을 알 수 있는 시기는 기원전
1천 년경에서부터이다. 이 때의 요가는 음식, 수면, 욕망 등을 억제하고 호흡을 조절하여서 의식을 한곳에 집중하는 고행적인 행법이었다. 그러나
기원전 5백 년경부터는 고행과는 구별되는, 요가 고유의 수행법과 철학적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기원전 2백 년경에는 명상적인 실천
뿐만이 아니라 철학적 사색, 윤리적 실천, 종교적 헌신 등을 모두 요가라고 한다. 이러한 사상이 나타나는 문헌이 <바가바드기타>인데,
이것은 현대까지 인도의 성경이라 불릴 만큼 많이 읽혀지고 있으며 인도 사상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쳐 왔다. 그래서 현대 인도 사상에서도 요가는
넓은 의미로서 철학, 윤리, 종교까지 포함하는 해탈을 위한 수행 일반을 의미하고 있다.
이렇게 포괄적인 의미의 요가는 기원 후
4-5세기경에 요가 경전인 <요가수트라>가 성립되면서 다른 사상과 구별되는 요가 고유의 철학을 갖추게 된다. 이 요가의 수행법은
이론적인 형이상학과 불교적인 심리학을 이론으로 하고 있다.
수행의 체계는 윤리적인 계율, 종교적인 실천, 신체의 조절, 호흡의
조절, 감각기관의 억제, 의식의 집중, 집중된 의식의 확장, 주관과 객관의 합일 상태인 삼매라는 8 단계로 되어 있다.
수행의
궁극적인 목표는 정신적인 진정한 자아가 물질적인 이 세계와 육체에 구속되지 않는 영원한 자유를 얻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통 철학에서 요가라고
할 때는 이 요가 사상을 말한다.
이 요가 경전이 성립된 이후에는 이 경전에 대한 많은 주석서가 쓰여졌고 한편에서는 일원론에 근거한 요가
사상도 나타났다. 13-17세기에는 육체적, 생리적인 수행을 중심으로 하는 하타 요가가 크게 발달하였다. 요사이에는 밀교적인 에로티시즘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발달 과정에서 요가는 그 이론이나 실천행법을 달리하는 유파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요가의 본질인 명상은
인도인들이 추구하는 해탈이라는 인생의 궁극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보편적인 행법이기 때문에, 인도의 모든 종파나 학파에서는 자파의 교리에 맞춰서
요가를 수용하게 된다. 그래서 요가는 요가 학파의 전유물이 아니라 인도의 모든 종교 철학이 공유하는 실천 행법이 되었다. 그 과정에서 요가는
이론인 철학보다는 실천 행법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요가도 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하타 요가와 라자 요가이다.
'인도요가대학연수 > 요가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가지도자들께고함 (0) | 2008.09.16 |
---|---|
인도의요가 (0) | 2008.02.23 |
요가인이지켜나가야하는범위(계율) (0) | 2006.05.10 |
요가 수행의 체계인 아쉬탕가 요가란? (0) | 2006.05.10 |
만트라요가시 소리의 힘에 대한 이해 돕기 (0) | 2006.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