뜸치료의적응점과금기증 가) 적응증 뜸의 적응증은 옛날에는 외과적 영역에서 많이 써 왔으나 지금은 대부분 내과적 영역이다. 옛날부터 약과 침으로 치유되지 않는 질환은 반드시 뜸을 떠야 한다고 해 왔다. 또 『의학입문』에는 한열허실 모두 뜸을 뜰 수 있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후비증이나 육혈에는 소상혈에 뜸을 뜨며 .. 한방100설 2008.08.27
뜸뜰때주의점 몸조리하는 방법[調養法] 뜸뜨기 전에 열을 내는 음식을 먹지 말고 신(腎)을 자양하는 약을 먹어야 한다. 또한 뜸자리를 잡는 데는 그 요혈(要穴)을 잡아야 하고 너무 많이 떠서는 안된다. 많이 뜨면 기혈이 약해질 수 있다. 기해혈(氣海穴)에 뜸을 뜨거나 배꼽뜸[煉臍]을 뜰 때에는 누워서 뜨지 않는다. .. 한방100설 2008.08.27
뜸의요법과작용 뜸 요법은 옛날부터 질병을 예방하며 몸을 건강하게 하는 데 많은 공헌을 해 왔다. 고전에는 (관원혈에 일년에 뜸 300장씩 힘들여 뜨면 그 효과는 대단히 좋아서 약하던 몸이 튼튼해지고 질병이 없어지니 어찌 수명이 연장되지 않겠는가, 또 지적하기를 (삼리혈에 계속 뜸을 뜨면 전염성 질환이 침범하.. 한방100설 2008.08.27
뜸의보사법 뜸에도 보법(補法)과 사법(瀉法)이 있다. 보법은 살에까지 뜸쑥이 다 타들어간 다음에 불이 꺼지게 하는 것이고 사법은 불이 살에까지 타들어 가기 전에 쓸어버리고 입으로 불어주는 것이다. 이것은 바람이 주로 발산시키기 때문이다[단심]. ○ 불로 보하는 것은 그 불을 불지 않고 반드시 저절로 꺼지.. 한방100설 2008.08.27
뜸뜨는체위와순서 뜸 뜨는 체위는 대개 침 놓는 자세와 같이 한다. 뜸 놓기에 편리하면서 환자의 몸을 편하게 하는 것이 좋다. 또 순서도 침 놓는 순서와 『동의보감』 침구편에는 (뜸 뜨는 것은 먼저 양의 부분을 뜨고다음에 음의 부분을 뜨며 먼저 위를 뜨며 다음에 아래를 뜨고. 먼저 적게 뜬 다음에 많이 뜬다)라고 하.. 한방100설 2008.08.27
뜸의장수와자극의강약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뜸봉 한 개의 힘이 어른 한 사람의 힘과 같다고 하여 장(壯)이라고 하였다. ○ 대체로 머리에는 7장에서 49장까지 뜬다. ○ 구미혈(鳩尾穴)과 거궐혈(巨闕穴)은 가슴과 배에 있는 침혈이기는 하나 뜸은 28장을 넘지 말아야 한다. 만일 많이 뜨면 심력(心力)이 약해.. 한방100설 2008.08.27
뜸뜨는법의종류 뜸뜨는 방법[灸法] 병을 치료하는 데서 일반적으로 겨울에는 덥게 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뜸을 뜨는 것이다[중경]. ○ 모든 병에 약과 침으로 낫지 않는 것은 반드시 뜸을 떠야 한다[입문]. ○ 『영추』에 처져 내려가는 데는 뜸을 뜨라고 하였는데 『동원』은 처져 내려간다는 것을 피모(皮毛)가 풍한을.. 한방100설 2008.08.27
뜸의요법 1. 뜸 요법의 정의 인체 표면의 일정한 혈위나 아픈 부위에 쑥으로 만든 뜸봉을 놓고 태워서 경락을 덥게 하고 잘 통하게 하여 기혈을 고르게 함으로써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의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이다. 2. 뜸의 재료 뜸은 쑥을 주로 쓴다. 이 쑥은 식물학상 국과(菊科)에 속하며 다년생 초로서 산야 .. 한방100설 2008.08.27
향이인체에미치는영향 향기로운 향생활 향이라 하면 으레히 제사 때나 사찰에서만 피우는 것으로 잘못 전해져 오고 있지만 옛 선인들은 차를 마실 때, 얘기를 나눌 때, 글을 읽을 때 항상 향을 곁에 두고 피워 왔습니다. 예로부터 향기나는 약초를 몸에 지니고 다니면 뱀이나 동물의 위협을 막을 수 있고 잠자리 베개속에 향.. 한방100설 2008.08.25
좌훈에좋은약초 좌훈에 쓰이는 약재는? 1. 약쑥 쑥은 강력한 살균작용,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기운, 혈액순환을 돕는 작용을 한다. 몸이 냉한 여성이나 생리불순, 생리통, 하복부 통증, 하혈에 좋다. 강력한 살균작용,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기운, 혈액순환을 돕는 작용을 한다. 몸이 냉한 여성이나 생리불순, 생리통, 하.. 한방100설 2008.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