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요가대학연수/요가의종류
제1권 제자의 길: 스승들의 교훈
a. 서 론
1. 편집자와 그의 도반(道伴)2. 가르침의 전수3. <귀중한 기도서>의 원본4. 교훈과 격언의 비교
b. [제자의 길: 스승들의 교훈]
귀 의서 문요가의 28가지 교훈
1. 후회의 원인 10가지2. 필요한 10가지3. 해야 할 10가지4. 피해야 할 10가지5. 피하지 말아야 할 10가지6. 알아야 할 10가지7. 실천해야 할 10가지8. 끈기있게 노력해야 할 10가지9. 수행을 촉진하는 10가지10. 10가지 잘못11. 유사하여 착각하기 쉬운 10가지12. 잘못하지 말아야 할 10가지13. 13가지 중대한 실수14. 15가지 나약함15. 필수적인 것 12가지16. 뛰어난 사람의 10가지 특성17. 무익한 것 10가지18. 스스로 초래하는 고통 10가지19. 자신에게 이로운 것 10가지20. 가장 좋은 것 10가지21. 10가지 큰 실책22. 필요한 것 10가지23. 불필요한 것 10가지24. 더 값진 것 10가지25. 같은 것 10가지26. 불법(佛法)의 10가지 장점27. 상징적 표현 10가지28. 크고 즐거운 깨달음 10가지
결 론
제2권 열반의 길: 마하무드라의 요가
1. 마하무드라 행법의 역사2. 원전과 번역3. 마하무드라 교의의 성격4. 스승들의 계보
b. [열반의 길: 마하무드라의 요가]
귀 의서 문
제1부: 예비 학습제2부: 필수 내용
보통 수행
1. 집중의 요가 2. 지존의 요가
특별 수행
1. 모든 현상과 마음을 하나로 바꾸는 요가 2. 무(無)명상의 요가
제3부: 결론
제3권 지식의 길: 육법(六法)의 요가
1. 4종 탄트라2. 생명열(熱) 요가3. 환신(幻身)의 요가4. 몽환(夢幻)의 요가5. 정광명(淨光明)의 요가6. 중유(中有)의 요가7. 의식 전이(意識轉移)의 요가
b. [지식의 길: 육법(六法)의요가]
귀 의서 문제1장: 생명열 요가
제1부: 5단계의 예비 과정
제2부: 3단계의 근본 수행
제3부: 실제 적용
제2장: 환신의 요가
제1부: 불순한 환신을 마야로 인식하기제2부: 순수한 환신을 마야로 인식하기
제3부: 모든 것을 마야로 인식하기
제3장: 몽환의 요가
제1부: 몽환 상태의 본질을 이해하기제2부: 꿈의 내용을 변환하기제3부: 몽환 상태, 또는 꿈의 내용을 마야로 인식하기제4부: 몽환 상태의 본질에 대한 명상
제4장: 정광명의 요가
제1부: 근본 정광명제2부: 과정 정광명
제3부: 결과 정광명
제5장: 중유의 요가
제1부:바르도에서 법신의 정광명 상태를 깨닫기
제2부:바르도에서 보신 상태를 깨닫기
제3부: 바르도에서 응신 상태를 깨닫기
제6장: 의식 전이의 요가
제1부: 세 가지 전이제2부: 스승에 대한 명상을 통한 의식 전이
제4권 전이의 길: 의식 전이의 요가
1. 포와와 포와의 성취2. 관련 행법인 '동죽'3. 스승들의 이야기4. 티푸의 이야기5. 비의(秘義)의 전승
b. [전이의 길:의식 전이의 요가]
제1부: 의식 전이의 심오한 길:'핵심 종자'
제2부:망자(亡者)의 의식 전이
제3부:스승들의 계보
제5권 헌신의 길: 자기 포기의 요가
1. 무아 사상의 역사2. 티벳의 시형(詩形)3. '최'의식의 수행자들4. 주요 내용5. 신비극(劇)으로서의 '최' 의식6. 티벳 마술극과의 비교7. 라마들이 말하는 질병의 원인8. 실론의 발리 제전과의 비교9. 구마(驅魔) 의식10. 마술극의 공연11. 칸첸중가 승리의 춤12. 인류학적 해석13. 보살의 신비적 희생
b. [헌신의 길: 자기 포기의 요가]
잘못된 믿음을 부수는 요가 춤다섯 방향의 요가 춤자기의 요소들을 못박음스승과 신들의 시각화수행자의 기도수행자의 발심환신을 제물로 바침스승들을 향한 기도송장과 분노의 여신 관상법희생 잔치로 소집함예배로서 희생 잔치를 공양함영적인 존재들에게 희생 잔치를 공양함희생 행위를 헌납함희생 행위의 공덕을 헌납함
c. 보유(補遺)
1. 의식 수행에 필요한 물건들2. 장소와 심상(心象)에 관한 지침3. 수행자를 위한 지침4. 만다라 관상법5. 혼합. 적색. 흑색 잔치6. 희생 공양에 따르는 명상7. 여러 가지 잔치를 행하는 시간8. 인간의 해골과 분노한 다키니 관상법9. 필요한 마음 자세10. 최종 명상11. 축원과 강복12. 결론
제6권 오지(五智)의 길: 장음 '훔'의 요가
a.서론
1. 다섯 지혜의 요가
b. [오지(五智)의 길: 장음 '훔'의 요가]
제7권 반야의 길: 공성(空性)의 요가
1. 반야바라밀다: 그 역사와 비의(秘義)2. 외전(外典)으로부터의 번역3. 정전(正典) 문헌과 주석서들4. 역사적으로 본 공(空) 사상5. 현상 속에 존재하는 절대성6. 반야바라밀다의 수행
b. [반야의 길:공성(空性)의 요가]
1. 반야바라밀다의 탁월성2. 세 종류의 반야3. 개아(個我)4. 원자(原子)의 존재 여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